본문 바로가기

산업계(공기업)

한전KDN을 가기 전에 생각해볼 것들

반응형

본 게시물은 한전KDN 입사를 희망하는 학생, 취업준비생 분들을 대상으로 합니다.

 

한전KDN은 공기업에 속합니다.

 

공기업은 무엇일까요? 사전적 의미를 먼저 보겠습니다.

 

공기업(, public enterprise)은 중앙정부 또는 지방정부가 출자하여 설립되었거나 지분이 대부분 정부에게 속해 있는 기업이다. 중국에서는 이를 소속에 따라 중앙국유기업[1](central state-owned enterprise) 또는 국유기업[2](state-owned enterprise)이라고도 한다. 정부나 지자체가 각자에게 고유한 사업 영역을 부여하고 경영에 대한 책임은 스스로 지게 하는 기업이다.[3]

 

공기업

공기업( 公 企 業 , public enterprise)은 중앙정부 또는 지방정부가 출자하여 설립되었거나 지분이 대

namu.wiki

 

네, 정부의 관리를 받는 기업으로 이해하시면 적절할 것 같습니다.

 

공기업을 관리하는 정부란, 기업마다 다를 수 있는데요. 

 

제가 경험해본 회사는 한전KDN입니다.

 

이 회사는 보안 관련으로는 산업통상자원부에게, 행정적으로는 기획재정부에게 관리를 받습니다. 네, 전력그룹사 대부분이 그런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이 게시물의 목적은 회사를 들어가기 전에 한번 더 생각해봐야 할 것을 이야기하기 위해서입니다.

 

공기업 하면 어떤 이미지가 떠오르시나요? 아래처럼 꿀 빠는 벌이라고 생각하실 것 같습니다. (ㅋㅋ)

 

제가 한전KDN에 지원했을 시기에는 그랬으니까요.

chatGPT 생성 이미지

 

흔히들 성과를 내야하는 조직과 성과보다 예산을 사용하며 운영해야 하는 조직이 다르다고들 합니다.

 

공기업에서도 마찬가지인데요.

 

한국전력공사, 철도공사 등과 같이 자체 설비를 운용하는 조직 같은 경우, 문제가 되지 않게 하는게 중요한걸로 알고 있습니다. 

 

 

IT 관련 학과를 전공하셨는데, 코딩이 하기 싫어 공기업을 지원하겠다?

 

큰일 날 수 있습니다.

 

그 일례로, 한전KDN의 기술직은 사업, 제품 개발, 설비 운영으로 구성됩니다.

 

사업 관련 조직은 정신이 없습니다. 사기업에 정말 가깝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다만, 공기업이기 때문에 지켜야하는 규제가 굉장히 많습니다. 따라서, 시기 적절한 타이밍에 사업을 치고 못들어가는 경우가 많을 수밖에 없습니다.

 

규제를 지켜야하고(사기업 출신 분들은 상상 못하실 수 있습니다. 그러면서 사기업과 경쟁해야하는 조직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상황상으론 쉽지 않습니다. 

 

하지만, 돈을 가장 많이 벌 수 있는 조직입니다. 여기서 돈이란 성과를 의미합니다. 물론 회사가 그 돈을 가져가지요. 

그렇지만 사내에서의 위상은 가장 크다고 볼 수 있습니다. 사실, 처장 승진을 하기 위해서는 사업부서를 몸 담아 성과를 내본 경험이 있어야 유리합니다.

 

제품 개발 조직은 사내의 기술원에 속합니다. 이 조직에선 주로, 원천기술을 활용한 제품을 만듭니다. 

원천기술 개발 또는 연구를 생각하신 분들은, 이곳에 적절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성과를 창출해야하는 조직이기 때문에, 제품 개발을 목표로 해야 임원진의 결재가 날 수 있다는 점 명심해야 합니다.

 

여기서, 코딩을 하지 못하면 스트레스를 굉장히 많이 받으실 수 있습니다.

그리고 코딩도 중요하나, IoT 관련 제품도 많기 때문에 크로스 컴파일러 툴체인, 아키텍처 등을 공부하셔야 합니다.

 

그리고 제품 인증을 받는 업무 또한 있습니다. 국가정보원의 KCMVP(암호모듈 검증 프로그램), KISA IoT 보안인증 등의 국가 인증을 수검하기도 합니다. 당신이 시험기관 대응 담당자가 되지 않으리라는 보장이 없습니다.

 

저의 경우엔 쉽지 않았습니다. 박사급이 시험관들을 상대로 맞다이를 해야하니까요.

하지만, 결과로 이야기하는 것이기에 못한다는 변명은 할 수 없는게 회사라는 조직 아니겠습니까. 해 내야죠.

 

설비 운영 조직전력 IoT 제품 또는 고객사 전산 장비 운영 업무를 맡습니다. 주로, 고객사의 서버 등을 맡아서 하지요. 이 곳은 각자가 독립된 영역을 맡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따라서, 가장 자유롭다고 합니다. 물론, 개인에게 가하는 책임감 또한 크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위와 같이, 한전KDN의 업무와 그에 대한 특징을 나열해보았습니다.

 

기술직을 희망하신다면, 위의 사항을 미리 상상하고 지원하시기를 권고해드립니다.

 

자체 설비를 운영하는 공기업과는 다릅니다. 

 

하고 싶은 말을 정리하자면, 아래와 같습니다.

 

1. 공기업은 주로 성과창출에는 스트레스가 적을 수 있으나, 규제 준수가 굉장히 많다.

2. 규제를 준수하다보면, 시간 소모가 크고 이는 생산성 저하로 이어질 수 밖에 없다.

3. 공공에 속하다보니 이를 무시할 수 없다.

4. 다만, 한전KDN은 성과 창출을 해야하는 조직의 특성을 가져 한 발로 달리기를 해야하는 상황이다.

5. 한 발로 빠르게 달리며 사기업과 경쟁할지, 그냥 주저 앉을 것인지 다들 결정하게 된다. (잘못된 선택은 없습니다.)

 

도움이 되셨기를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반응형